금양체질이 고기 먹는 법

2025. 1. 6. 18:54팔체질

금양체질이라 고기를 먹으면 몸에 부담이 되는 편인데 개인적으로 고기를 먹으면 나타나는 현상은,

  • 소고기와 돼지고기: 피부에 열이 올라오고 붉은 발진이 반나절 정도 생김.
  • 돼지고기: 배앓이 및 100% 설사
  • 닭고기: 반 마리 이상 먹을 경우, 100% 장염
  • 육고기 공통: 소화가 잘 안되고 얹혀있는 느낌.

 

그래서, 생선과 잎채소 종류로 식생활을 변경했지만 겨울이 되자 몸이 차갑고 허한 느낌이라 고기를 먹기 시작했다.

여러번의 시행착오 끝에, 금체질이지만 몸에 부담이 덜 하게 고기를 먹는 노하우를 알게되어 공유하고자 한다.

이 방법은 결국 샤브샤브인데, 금체질의 나라인 일본의 식생활을 떠올리면 금체질이 먹을 수 있는 음식이 꽤 늘어난다.

 

1) 소, 돼지, 닭 중에서 돼지를 선택

     그나마 돼지가 찬성질이라 그런지 셋 중에서는 부담이 덜한 편이었다.

 

2) 조리법은 샤브샤브 & 찌개

    후라이팬으로 불에 구워서 먹으면 피부에 열이 쉽게 오르고 붉은 발진이 생긴다. 게다가 피를 제거하기가 어려워서 좋지 않다.

 

3) 가급적 신선한 살코기로 선택하며, 피와 지방(비계)는 먹지 않는다. 

    - 지방(비계) 부분이 고소하고 맛있긴하지만, 조금만 먹어도 속에 부담이 되고 얹히는 편이라 비계는 모두 제거한다. 

    -  돼지고기는 빨리 상하는 편이고 고기 비린내가 나는 부분이 바로 부패한 피이기 때문에, 고기를 미리 찬물에 담궈서 핏물을 뺀다.

    -  돼지고기를 미리 끓인 물에 살짝 데쳐서 핏물과 지방을 제거한다. 보통 하얗게 뜨는게 핏물이다.

    - 1~2번 정도 데쳐서 겉부분은 하얗고 속은 아직 빨간색일 때 요리에 사용한다.

 

4) 반드시 다량의 잎채소와 함께 먹는다. ★

    이게 중요한데, 잎채소 즉, "상추, 양상추, 로메인, 얼갈이배추, 배추, 공심채, 봄동 등"을 고기양의 1.5~2배 정도를 함께 먹어줘야 한다. 그래야 속에 무리가 생기지 않는다. 많은 채소를 생으로 먹기 힘들 경우, 샤브샤브로 살짝 데쳐서 먹는다.

 

금체질이지만, 추운 겨울에도 든든하고 따뜻한 식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.

반응형